한랭질환 예방가이드
작성자 정보
- jb0842 작성
- 작성일
컨텐츠 정보
- 1,712 조회
- 목록
본문
※ 한파란 겨울철에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는 현상으로 근로자에게 동상, 저체온증 등을
일으킬 수 있습니다.
▣ 한파특보 발표기준
- 한파주의보: ①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℃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
②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℃ 이상 하강하여 3℃이하이고 평년값보다
3℃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
- 한파 경보: ①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5℃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
②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℃이상 하강하여 3℃이하이고 평년값보다
3℃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
※ 따뜻한 옷·물·장소!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기본수칙입니다!
1. 따뜻한 옷 (방한장구)
① 3겹 이상의 옷을 입으세요. (여러 겹의 옷은 보온성을 높여줍니다)
② 모자 또는 두건을 착용하세요. (신체 열의 50%가 머리를 통해 손실됩니다)
③ 필요 시 얼굴과 입을 가리는 마스크를 사용하세요.
④ 보온장갑을 착용하세요.
⑤ 보온과 방수 기능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세요.
2. 따뜻한 물
⦁따뜻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하세요.
- 옥외작업자는 수시로 따뜻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보온병 등을 준비하세요.
3. 따뜻한 장소(휴식)
① 따뜻한 장소를 작업장소와 가까운 곳에 마련하세요.
② 한파특보 발령 시 적절하게 휴식할 수 있도록 하세요.
- 특보 종류(주의보, 경보), 풍속 등에 따라 휴식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※ 옥외작업자 건강보호를 위해 추가적인 예방조치를 실시하세요!
① 작업 시 동료 작업자 간 상호관찰하세요.
②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운동지도를 하세요.
③ 민감군에 대한 사전확인 및 수시로 관리하세요.
- 한파에 취약한 민감군*을 미리 확인하고, 건강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세요.
*민감군: 고혈압, 당뇨, 뇌심혈관질환, 갑상선 기능저하, 허약체질, 고령자 등
※ 체감온도
(바람과 한기에 노출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)
① 위험(-15.4 미만)
- 장시간 야외 활동 시 저체온증과 더불어 동상의 위험이 있음
- 실내에 머무르며, 야외에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몸을 움직이도록 함
- 피부가 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
- 방풍기능이 있는 겉옷을 입고, 안에 겹겹이 옷을 입어야 함
- 모자, 장갑, 목도리, 마스크, 방수 신발 등을 착용함
② 경고(-15.4 이상/-10.5미만)
- 노출된 피부에는 매우 찬 기운이 느껴짐
- 방한용품 없이 장기간 피부 노출 시 저체온증의 위험이 있음
- 야외에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몸을 움직이도록 함
③ 주의(-10.5이상/-3.2미만)
-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증가함
- 옷을 따뜻하게 입고 모자, 장갑, 목도리 등을 착용함
- 옷이나 신발 등이 젖지 않도록 함
④ 관심(-3.2이상)
- 추위가 느껴지기 시작함
- 옷을 따뜻하게 입음
- 옷이나 신발 등이 젖지 않도록 함
※ 대표적 한랭질환 증상
1. 피부가 검붉어지고 물집 생김
2. 오한
3. 피로 및 의식저하
※ 한랭질환 증상 발현시 응급조치
1. 몸을 따뜻하게 유지(젖은 옷 제거, 따뜻한 곳으로 이동)
2. 동상부위 따뜻한 물에 담그기
3. 가능한 빨리 병원진료 받기
★ 긴급한 경우 119신고(후송)하세요
출처
http://safetyleader.co.kr/bbs/board.php?bo_table=table54&wr_id=62&sca=안전보건공단
* 상기 내용을 보기 쉽게 따로 만들어 파일을 첨부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*
일으킬 수 있습니다.
▣ 한파특보 발표기준
- 한파주의보: ①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℃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
②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℃ 이상 하강하여 3℃이하이고 평년값보다
3℃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
- 한파 경보: ①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5℃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
②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℃이상 하강하여 3℃이하이고 평년값보다
3℃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
※ 따뜻한 옷·물·장소!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기본수칙입니다!
1. 따뜻한 옷 (방한장구)
① 3겹 이상의 옷을 입으세요. (여러 겹의 옷은 보온성을 높여줍니다)
② 모자 또는 두건을 착용하세요. (신체 열의 50%가 머리를 통해 손실됩니다)
③ 필요 시 얼굴과 입을 가리는 마스크를 사용하세요.
④ 보온장갑을 착용하세요.
⑤ 보온과 방수 기능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세요.
2. 따뜻한 물
⦁따뜻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하세요.
- 옥외작업자는 수시로 따뜻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보온병 등을 준비하세요.
3. 따뜻한 장소(휴식)
① 따뜻한 장소를 작업장소와 가까운 곳에 마련하세요.
② 한파특보 발령 시 적절하게 휴식할 수 있도록 하세요.
- 특보 종류(주의보, 경보), 풍속 등에 따라 휴식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※ 옥외작업자 건강보호를 위해 추가적인 예방조치를 실시하세요!
① 작업 시 동료 작업자 간 상호관찰하세요.
②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운동지도를 하세요.
③ 민감군에 대한 사전확인 및 수시로 관리하세요.
- 한파에 취약한 민감군*을 미리 확인하고, 건강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세요.
*민감군: 고혈압, 당뇨, 뇌심혈관질환, 갑상선 기능저하, 허약체질, 고령자 등
※ 체감온도
(바람과 한기에 노출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)
① 위험(-15.4 미만)
- 장시간 야외 활동 시 저체온증과 더불어 동상의 위험이 있음
- 실내에 머무르며, 야외에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몸을 움직이도록 함
- 피부가 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
- 방풍기능이 있는 겉옷을 입고, 안에 겹겹이 옷을 입어야 함
- 모자, 장갑, 목도리, 마스크, 방수 신발 등을 착용함
② 경고(-15.4 이상/-10.5미만)
- 노출된 피부에는 매우 찬 기운이 느껴짐
- 방한용품 없이 장기간 피부 노출 시 저체온증의 위험이 있음
- 야외에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몸을 움직이도록 함
③ 주의(-10.5이상/-3.2미만)
-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증가함
- 옷을 따뜻하게 입고 모자, 장갑, 목도리 등을 착용함
- 옷이나 신발 등이 젖지 않도록 함
④ 관심(-3.2이상)
- 추위가 느껴지기 시작함
- 옷을 따뜻하게 입음
- 옷이나 신발 등이 젖지 않도록 함
※ 대표적 한랭질환 증상
1. 피부가 검붉어지고 물집 생김
2. 오한
3. 피로 및 의식저하
※ 한랭질환 증상 발현시 응급조치
1. 몸을 따뜻하게 유지(젖은 옷 제거, 따뜻한 곳으로 이동)
2. 동상부위 따뜻한 물에 담그기
3. 가능한 빨리 병원진료 받기
★ 긴급한 경우 119신고(후송)하세요
출처
http://safetyleader.co.kr/bbs/board.php?bo_table=table54&wr_id=62&sca=안전보건공단
* 상기 내용을 보기 쉽게 따로 만들어 파일을 첨부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*
관련자료
-
첨부등록일 2023.01.03 09:57
-
이전
-
다음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